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by 열매맺는나무 2025. 3. 29.

지난 글 발뒤꿈치 통증 -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 예방법에서는 발뒤꿈치 통증으로 고생했던 이야기와 함께 그 원인과 치료에 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뒤를 이어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을 고르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아픔이라고는 모를 귀여운 발!

1.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족저근막염은 발의 아치를 지탱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발바닥 근막이 손상되어 염증과 통증이 생긴 것을 가리킵니다. 이걸 예방하려면 아무래도 좋은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 좋은 신발이란 내 발의 생김새와 용도에 맞는 신이라고 하겠습니다. 겉보기에 멋지기만 한 것은 물론이고, 비싼 신발이라고 다 발 건강에 좋은 건 아니더군요. 그렇다면 어떤 신발이 좋을까요?

가. 충격흡수

발바닥 근막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바닥 근막을 보호하려면 역시 충격을 대신 흡수할 수 있는 쿠션이 좋은 신발을 신어야겠죠. 특히 발뒤꿈치 부분이 딱딱하지 않고 쿠션감이 있어야 적합하다 하겠습니다. 신발 중창이 EVA 폼, 젤 패드, 메모리폼 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좋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푹신하다 못해 부드러운 신발(슬리퍼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대로 발을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나. 아치 지지력

사람의 발은 평발이 아닌 다음에야 모두 움푹 들어가 있습니다. 이런 발 아치(arch)를 잘 받쳐줄 수 있는 디자인이 중요하죠. 자기 발 모양에 잘 맞는 아치 서포트가 있는 신발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발에 가까운 사람은 낮은 것을, 아치가 높은 사람은 아치 서포트가 높아 잘 받쳐줄 수 있는 것을 골라야 하겠죠. 이런 것은 신어보지 않고서는 잘 알 수 없으니, 실제로 신어보고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치 서포트가 부족하면 깔창(인솔)을 더 깔아 신는 것도 방법입니다. 운동화처럼 깔창을 갈아 끼울 수 있는 신발이 더 유용하겠죠.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깔창(인솔)

지금 족저근막염을 앓고 있다면 족저근막염 전용 깔창(오소틱스, 의료용 깔창)을 넣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다. 뒤꿈치 지지력 & 안정성

앞서 제가 족저근막염을 앓을 때 뒷꿈치가 아팠다고 했었죠? 발 뒤꿈치를 잘 잡아주는 것 역시 아치를 지지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발꿈치를 잘 잡아줄 수 있도록 신발에 발꿈치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힐컵(heel cup) 구조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뒤꿈치가 흔들리지 않도록 발을 단단히 고정해 주는 설계는 무척 중요합니다.

라. 적절한 굽 높이

언뜻 생각할 때 굽 없이 납작한 신발이 발 건강에 좋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제가 고생했을 때는 납작한 플랫 슈즈나 말랑하고 얇은 슬리퍼나 크록스를 신었을 때였습니다. 이런 신발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높은 하이힐도 문제입니다. 하이힐을 신으면 몸무게가 좁게 모아진 발가락 쪽으로 모이게 되고, 허리는 젖혀지게 되므로 발가락이 변형되고 척추에도 무리가 가게 됩니다.

따라서 2~4센티미터 정도의 낮은 굽이 가장 이상적이라 하겠습니다.

마. 적당한 핏

신발이 발 볼에 비해 너무 좁아도 또 너무 넓어도 문제입니다. 발 볼이 너무 좁으면 발바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하이힐 정도는 아니더라도 꽉 죄는 신발은 발가락과 발을 압박해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신발을 신었을 때 발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또 신발의 발가락 앞쪽 끝을 눌러보아 발가락이 끝까지 닿지 않을 정도의 여유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둘째나 셋째 발가락이 긴 사람은 이렇게 해야 고생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큰 신발을 신으면 발이 헛돌아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어디까지나 적당한 핏을 유지해야 합니다. 지금 신고다니는 운동화의 발목 뒷부분(발뒤꿈치 쪽)이 헐어있다면 신을 헐떡거리게 신고 다닌다는 증거입니다.

2.  족저근막염에 좋지 않은 신발

그렇다면 반대로 족저근막염에 좋지 않은 신발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신발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족저근막염에 좋지 않은 신발

🚫 플랫슈즈 – 쿠션과 아치 지지가 부족해 발바닥에 부담을 줍니다.

🚫 얇은 슬리퍼 – 충격 흡수 기능이 없어 발이 쉽게 피로해져요.

🚫 하이힐 –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집중되어 통증 유발시켜요.

🚫 딱딱한 구두 – 쿠션이 부족하고 발의 움직임을 제한합니다.

3. 결론 -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고르는 요령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고 통증을 줄이려면 발에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발 고를 때 팁을 추가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추가 TIP

✔ 신발을 신어 보고 뛰거나 걸어보며 쿠션감과 안정성을 테스트 깔창(인솔)을 추가하면 더 좋은 효과 (의료용 오쏘틱스 추천) ✔ 오래 서 있어야 한다면 푹신한 양말과 함께 착용 ✔ 신발 교체 주기: 운동화는 6개월~1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음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발뒤꿈치 통증 -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 예방법

 

발뒤꿈치 통증 -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 예방법

발뒤꿈치 통증 -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 예방법발뒤꿈치 통증으로 한동안 고생했습니다. 처음엔 많이 걸어서 그런가 하고 며칠 기다려 봤습니다. 견디다 못해 병원에 갔더니 역시나 족저

fruitfulife.tistory.com

 



반응형

열매맺는나무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